중난산 원사 "우한 시장 야생동물에서 발원" 주장 뒤집어 <br />중난산 원사, 입장 변화 구체적인 근거 제시하지 않아 <br />중국, 코로나19 발원지 ’책임론 회피’ 위한 움직임 분석 <br />중난산 원사 "한국·이란·이탈리아 확산 두드러져"<br /><br />2003년 '사스 퇴치의 영웅'으로 불리는 중국공정원 중난산 원사. <br /> <br />중국의 의학 전문가인 중 원사는 "코로나19가 중국에서 가장 먼저 출현했지만 꼭 중국에서 발원했다고 볼 수는 없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우한의 시장에서 팔던 야생동물에서 비롯됐을 것이라고 추정했는데, 돌연 이를 뒤집고 바이러스가 중국이 아닌 다른 나라에서 나왔을 수 있다는 주장을 편 것입니다. <br /> <br />중 원사는 "중국 상황만 고려하고 외국 상황을 고려하지 않았는데 현재 외국에서 일련의 상황이 발생했다"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중 원사는 이 같은 주장의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하지는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주장은 중국은 물론 세계 각국으로 확산하며 피해를 키우는 코로나19의 책임론에서 중국이 벗어나고자 하는 움직임이 아닌가 의구심을 낳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 원사는 코로나19 확산과 관련해서는 "4월 말에는 기본적으로 통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"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 원사는 또 중국의 신규 환자가 중국 이외 지역의 새로운 환자보다 적어졌다면서 한국과 이란, 이탈리아의 확산이 두드러진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우한시 당국이 이른바 1번 확진자가 우한의 수산시장을 방문하지 않았다고 밝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박쥐에 기생하던 바이러스가 우한 시장에서 팔린 천산갑 등 야생동물을 통해 사람에게 전파됐을 것이라는 그동안의 추론을 뒤집는 것이어서 발원지와 감염 경로 등을 놓고 논란이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게다가 우한의 시장에서 박쥐가 판매된 적도 없다는 주장도 있어 발원지 규명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간 셈입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: 이동우 <br />영상편집 : 임현철 <br />그래픽 : 유영준 <br />자막뉴스 : 육지혜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00228095515983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